세상 정보통

비타민A 효능

비타민A는 무엇인가?

비타민A의 생리적 기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는 동물성 식품과 식물성 식품으로 섭취를 할 수 있습니다. 지용성 비타민이기 때문에 지방이나 기름과 결합했을 때만 체내로 흡수가 된다고 합니다. 비타민A는 동물성 식품에 함유되어 있으며 녹황색의 식물성 식품에는 체내에서 비타민A의 전구체인 카로티노이드의 형태로 들어있습니다. 비타민A의 전구체인 베타카로틴은 장과 간에서 레니톨로 전환이 되고 전환되지 않은 베타카로틴은 체내에서 85%가 지방조직에 10% 간에 나머지는 다른 조직에 널리 퍼져 있습니다. 동물성 식품에 있는 A는 장에서 가수분해되며 장 점막세포로 흡수가 이루어집니다. 흡수된 레티놀은 장점막 세포에서 유미지립에 결합되어 임파계를 통해 혈액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섭취된 A의 50% 이상이 레티놀 에스테르의 형태로 간에 저장되고 있습니다. 식물성 식품에서 공급되는 카로티노이드는 과일과 채소의 붉은색, 녹황색, 노란색 등을 내는 색소입니다. 이 생성물질에는 알파카로틴, 베타카로틴, 루테인, 라이코펜, 크립토잔틴, 칸타잔틴, 지아잔틴 등 자연계에 약 500여 종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 중에서 알파, 베타카로틴, 베타크립토잔틴 등 50여 종만이 레티놀로 전환이 될 수 있습니다. 이 성분들이 체내에 흡수될 때 장의 장막에서 비타민A로 전환이 되고 생체 활성을 갖는 레티놀, 레티날, 레티노인산 등 세 종류의 물질이 있습니다. 이들 세 가지 형태는 단 하나의 작용기만 서로 다를 뿐 동일한 화학 구조를 지니고 있습니다.

비타민A의 효능 Check

기본적으로 비타민A는 시력과 세포의 성장 발달, 면역이란 3가지 기본적 생리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영양성분입니다. 먼저, 시각 기능이 있습니다. 안구의 망막에서 빛을 뇌신경 전달신호로 바꿀 때 비타민A가 필요하게 되고 눈을 구성하는 원추세포와 간상세포 등 세포가 정상적으로 분화될 때에도 필요합니다. 망막의 간상세포와 원추세포는 각각 어두운 곳과 밝은 곳의 시각작용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간상세포의 시각작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비타민A와 옵신이라는 단백질이 결합하여 로돕신이 만들어져야 합니다. 만약 A가 결핍될 경우 로돕신이 충분히 형성될 수 없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 눈이 적응하기가 어려워지는 것입니다. 다음은 피부와 세포의 건강에 영향을 미칩니다. 생체막 조직의 구조와 기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상피세포 성장인자로서 세포의 재생을 촉진시켜 구강과 기도, 위 장의 점막을 보호합니다. 비타민A의 전구물질인 카로티노이드는 항산화 성분입니다. 이는 활성산소가 유발하는 세포 손상과 노화, 각종 질병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카로티노이드는 당뇨 합병증 예방과 폐 기능 증진, 항암효과 등에도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 외에도 우리 몸에서 배아 발생과 생식, 뼈의 대사작용, 면역기능에 관여를 하고 있습니다. 베타카로틴의 체내 기능은 노화지연과 항암효과, 당뇨 합병증 예방, 폐 기능 증진 등이 있으며 주요 급원으로는 당근과 늙은 호박, 고구마, 브로콜리, 시금치, 살구 등이 있습니다. 자연 상태의 베타카로틴은 항산화 작용이 더욱 강력합니다. 카로티노이드의 역할은 동맥경화증을 예빵하며 항산화 작용을 하고 있습니다. 루테인의 체내 기능은 백내장과 황반 퇴화 예방, 시각 퇴화속도 지연, 암 예방 등이 있습니다. 주요 급원 식품으로는 시금치, 아욱, 양배추, 상추, 케일, 브로콜리 등이 있습니다. 라이코펜의 체내 기능은 전립선암과 심장병 예방에 도움을 주고 토마토와 고추, 자몽 등이 주요 급원입니다. 지아잔틴의 체내 기능은 황반 퇴화 지연, 항암 효과 등이고 주요 급원은 옥수수와 시금치, 늙은 호박 등이 있습니다.

비타민A 결핍증

비타민A 결핍증과 과잉증

비타민A가 결핍된다면 상피세포들은 점차 단단하고 건조한 각화성 조직으로 변하며 점액의 분비 기능이 상실되어 박테라이아의 침입을 쉽게 받게 됩니다. 세포의 산화를 막아주는 항산화제 역할을 합니다. 눈의 망막에 있는 간상세포에 존재하는 감광색소인 로돕신 생산에도 필요합니다. 이것이 결핍이 된다면 동물의 생식 기능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비타민A가 부족하면 야맹증과 안구건조증, 각막연화증이 발생하며 눈에 이상이 생겨 암 적응 능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한 편 과량으로 섭취를 하게 된다면 두통이나 피부 건조, 가려움, 간장 비대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임신기에 비타민A를 과다 섭취하게 되면 사산이나 출생 기형 등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지방질 섭취 부족 및 흡수 불량, 단백질 부족, 호흡기 질환 등과 함께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타민A는 과량 섭취하게 될 경우 독성 효과가 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과다 섭취로 인한 독성의 주요 증후는 피로감이나 두통, 구역질, 설사, 식욕 부진, 체중 감소 등이 발생하게 되며 심한 경우에는 간 손상이나 출혈 등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성인의 비타민A 권장량을 알맞게 섭취를 해주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한국인 영양 섭취기준에 의한 성인의 1일 비타민A 권장섭취량은 남자 750ugRE, 여자 650ugRE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생생정보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면무호흡증 알아보기  (0) 2021.03.10
주식이란 무엇인가  (0) 2021.03.08
부추 효능 확인하기  (0) 2021.03.03
비타민E 풍부한 음식 알아보기  (0) 2021.02.24
비타민C 풍부한 음식 살펴보기  (0) 2021.02.18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